미래 성장의 상징, 드론
지난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 1218대의 '슈팅스타' 드론들이 선보인 올림픽 오륜기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이번 2022년 2월 4일에 시작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평창에서 느꼈던 멋진 개막식이 열렸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을 총지휘하는 감독이 장이머우 감독이라니 한번 기대해 보겠습니다.
또한 요즘 영화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는 것이 드론의 활약입니다. 2019년 개봉한 재난영화 엑시트 영화 후반부에서 드론들이 펼친 활약 덕분에 우리의 주인공들이 무사히 살아나는 장면이 인상 깊었습니다.
그렇게 2018년 동계올림픽에서 우리들의 뇌리에 깊이 각인되었던 드론은 이제 농업, 에너지, 건설 및 광업, 치안 유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며 성장하고 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상업 및 정부 부문의 드론 수요 증가로 인해 2027년 총 드론 시장규모가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드론, 어디에서 배울 수 있나요
하지만, 대학과정에서 드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는 폭 넓게 조성되어 있지는 못합니다. 수도권 쪽에서는 아직까지 4년제 대학교에 드론 관련학과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각 지역에 드론관련학과를 설치한 4년제 대학의 수를 보아도 드론에 관한 교육 인프라가 충분해 보이는 않습니다.
드론 관련학과 설치 현황
각 지역에서 드론관련학과가 설치된 대학교 중 일부를 소개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한국항공대학교(경기 고양 소재 http://www.kau.ac.kr) 스마트드론공학과
- 경주대학교(경북 경주 소재 https://www.gu.ac.kr) 소방방재드론학과
- 남서울대학교(충남 천안 소재 https://www.namseoul.net) 드론공간정보학과
- 배재대학교(대전 소재) 드론.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
- 초당대학교(전남 무안 소재, https://www.cdu.ac.kr) 항공드론학과
- 광주대학교(광주 소재, https://www.gwangju.ac.kr/) 사진영상드론학과
- 영산대학교(경남 양산, https://www.ysu.ac.kr/kor) 드론공간정보공학과
드론 관련학과 살펴보기
각 대학교에 설치된 드론 관련학과의 특징을 보면, 무인항공기 제작과 개발에 집중하는 전통적인 공학계열 학과, 드론이 일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분야인 공간정보, 교통에 특화된 학과, 사진과 영상 촬영 등 타 분야와 융합하여 그 분야를 넓혀나가고 있는 학과 등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한국항공대학교 스마트드론공학과
교과과정을 보면, 항공우주학개론, 코딩입문(Python), 물리 및 실험, 항공역학, 전자회로 및 실습 등을 이수하는 것으로 보아 드론과 관련한 공학도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드론 비행보다는 드론비행체 자체에 대해 연구와 개발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이 입학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경주대학교 소방방재드론학과
과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방방재 분야에 드론을 운용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교육하고 있으며, 졸업생들은 주로 소방방재분야 전문가, 안전분야 핵심 공무원, 신기술을 연구하는 안전분야 연구원 등으로 진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남서울대학교 드론공간정보학과
드론 조종 및 맵핑, 드론 운용 및 제작, 드론 측량, 드론 코딩, 지도학, 정보시스템, GPS측량 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졸업 후 진로를 보면 지적직 공무원, 한국국토정보공사(LX), 항공사진측량 관련 기업 등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지적, 측량 등에 특화된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배재대학교 드론.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
배재대학교의 드론.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는 졸업을 하면 철도건설분야, 드론.로봇분야로 구분하여 진출하게 됩니다.
배재대학교는 국토교통부가 인정하는 철도 특성화대학이라서 아무래도 철도 쪽으로 특화되어 있을 것 같으나, 국토교통부와 드론 관련 사업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니 향후 이러한 점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초당대학교 항공드론학과
항공학부 내에 항공드론학과, 항공운항과, 항공정비학과, 항공서비스학과, 항공교통물류학과를 두고 있어 항공 쪽으로 특화되어 조정, 정비, 설계, 제작 능력 향양/ 군용 및 공용용 무인기 운영 능력 배양 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광주대학교 사진영상드론학과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문화산업대학 소속이어서 아무래도 사진학과 관련한 과목이 주를 이루고 있어 드론과 관련한 교육이 약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입학 게시판에 올려진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을 보면 사진에 관한 기초 소양을 토대로 드론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술교과 과정을 토대로 드론을 이용한 영상분야로 특화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어 보입니다.
☞ 영산대학교 드론공간정보공학과
교과내용을 보면 교통분야 쪽으로 중점을 두어 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공간정보, 교통, 스마트시티 등의 수요에 부등할 수 있는 드론 전문가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드론 산업의 밝은 미래
최근에는 코로나19로 각종 산업에서 무인화와 자동화가 더욱 가속화되어가고 있어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 산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어, 드론 산업의 미래는 아주 밝습니다.
다만, 드론에 대한 막연한 생각을 가지고 드론 관련학과를 생각하기보다는 본인이 어떠한 드론 산업 분야에서 활약하고 싶은지를 먼저 정하고 해당 학교의 학과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실제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더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